[대구사이버대 학과소개]
한국어다문화학과
학과소개
우리 사회가 이제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다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한국어의 언어적 능력을 겸비한 통합적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구사이버대학교의 한국어다문화학과는 다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하여 2013년에 4년제 학위과정으로 신설되었다.
아울러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사이버대학을 선택한 예비 교사 분들이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전문적인 지식들을 알기 쉽게, 실용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식으로 강의를 구성하고,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통해 관심 분야에 대한 내용들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 우리 한국어다문화학과는 이러한 전문적 지식과 인적 네트워크의 교류를 통해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통합적 사회 전문가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마련의 장이 될 것이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어다문화학과 학과장 윤은경입니다.
저희 과는 한국어교육의 세계화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정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가능한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2013년도에 신설되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서 학과 커리큘럼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희 한국어다문화학과는 크게 트랙이 두가지로 되어있습니다. [한국어교육] 트랙과 [다문화교육] 트랙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두 개의 트랙을 모두 공부하시게 되면 별도의 시험을 치르지 않고도 국가 자격증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수여하는 '한국어교원 2급', '다문화사회전문가 2급' 자격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민간자격증인 다문화지원전문가 그리고 다문화의사소통전문가 2급을 취득하실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저희 학과가 [한국어다문화학과]인 만큼 재학생들 중에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이 여럿 있습니다. 이분들과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분들도 저희 과의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전공 수업을 쉽게 구성하였습니다.
그렇게 저희 나름대로 쉽게 전공수업을 적용하고 커리큘럼을 구성했는데도 불구하고 어렵게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서는 학기 중에서는 과목별로 개설된 사이버 공간을 통해 의견을 나누실 수도 있고, 정기적인 오프라인의 모임을 통해서 전공수업에 대한 보충을 들을 수 도 있습니다. 전공보충, 특강 및 학생회 주관 하에 지역별 간담회 및 스터디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사적인 공간으로 다음에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재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정보 교류를 함으로써 전공 및 학교 생활에 대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도록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학교방문의 날’ 등의 행사에는 학생뿐만 아니라 온가족이 행사에 참여해서 함께 화합의 장을 즐기기도 합니다.
아울러 저희 과에는 현재 다문화교육센터의 교사,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소장, 해외 한국학교, 이중언어강사 등으로 활동하고 계신 한국어 선생님들이 여러분 계십니다. 앞으로 이분들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case conference) 발표의 장을 확대해 감으로써 이론을 겸비한 실제 교육 현장의 간접 경험을 여러분들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어교육은 아시겠지만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습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저희 대구사이버대학교는 대구대학교의 한국어교육센터와 2013년 MOU를 체결하여, 수업 참관 및 모의토의를 통해 전문가로부터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구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의 교육 노하우를 함께 배우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교원이 하는 일은 매우 다양합니다.
우선 다문화관련직업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국제외국인센터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있으며 다문화가족사례관리사, 다문화언어발달지도사라고 해서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언어발달 평가 및 교육을 하는 한국어 교사로 활동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 국공립 학교 내에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프로그램이 개설되었습니다. 즉 ‘다문화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초등학교에서 제2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동들을 위한 한국어교사로 여러분들이 활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대학 기관 소속의 국제한국교육센터 등이 있는데요. 그곳에서도 근무를 하실 수가 있습니다.
또 국내외에 있는 세종학당, 세종교실, 국제협력단(KOICA) 한글학교, 한국학교, 한국문화원, YMCA, YWCA 등의 공공기관과 각종 사설 한국어 학원 등이 있다.
외국인 선생님들은 이중언어강사, 여성가족부의 다문화자조모임 지도자, 지역의 출입국관리소에서 민원봉사와 상담통역봉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한국어다문화학과의 교수진은 여러분이 국내외에서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큰 뜻을 펼칠 수 있도록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학과장 이력]
- ㆍ담당교수 : 윤은경 교수 (heavynub@dcu.ac.kr)
- ㆍ학 력 :
-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음성학) Post-Doc
-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 - Arizona State University(USA) 석사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MTESL) 전공 - -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일본어과 졸업
- ㆍ경 력 :
-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음성음운론, 발음교육론,
글쓰기)강사 -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개발학과 강사
- - 선문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과(한국어 발음교육론) 강사
-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한국어 발음교육론) 강사
-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강사
- - 미국 Tacoma 한국학교 강사
교육목표
한국어다문화학과는 다문화 사회가 필요로 하는 통합적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한국어와 다문화 교육 트랙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졸업과 동시에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과 다문화사회전문가 2급을 취득하여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도록 탄탄한 학문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본 학과의 교육 목표는 한국문화와 결합된 한국어 교육 능력을 겸비한 한국어 교사의 양성, 유학/취업 등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의 양성, 다문화 사회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 교육의 측면에서는 언어간 대조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발음교육' 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교수법으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차별화된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세부적인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1)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한국어 교사 양성
- 2)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 아동 및 성인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다문화지원 전문가 양성
- 3) 한국어 교육과 다문화 지원을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수행 할 수 있는 통합적 교육전문가 양성
졸업 후 진로
한국어 교육 수요자가 매년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해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을 제공할 전문적인 능력을 보유한 한국어교육전문가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역할이 증대되고 다문화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한 시각을 통해 다문화 사회 및 가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이들이 우리나라 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의 공급도 요구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한국어 교육을 바탕으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통합교육전문가는 매우 각광 받을 것이 자명하다. 이들은 국내외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사, 이중언어강사 등 직접적인 교육을 수행할 교육자는 물론, 정부 및 시,군,구 등 지역사회의 공무를 수행할 다문화 및 사회복지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으며, 관련 대학원 진학 등의 진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구사이버대학교에는 다문화 전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회복지, 특수교육, 상담 관련 전공이 다수 개설되어 있어 부전공 및 복수전공의 이수가 용이하며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대구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대구대학교 다문화정책연구소, 대구대학교 언어의사소통연구소 등과의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성공적인 전문교육 이수와 다양한 진로를 제공할 예정이다.상기 콘텐츠 담당부서 | 부서명 : 한국어다문화학과 연락처 : 053-850-4068
'학과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성인 지적장애인을 위한 그림책 활용 예방미술심리상담 인턴십 (0) | 2017.05.18 |
---|---|
[대구사이버대 대학원 소개] 미술상담학과 (0) | 2016.06.26 |
[대구사이버대 학과소개] 전자정보통신공학과 (0) | 2016.06.26 |
[대구사이버대 학과소개] 행정학과 (0) | 2016.06.26 |
[대구사이버대 학과소개] 복지행정학과 (0) | 2016.06.26 |